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역사회 상담의 영역과 기법 스트레스 관리능력 제고를 위한 예방 교육 상담에서는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다룰 때, 두 가지의 기본적인 전제를 갖고 임한다. 첫째, 개인 스스로가 독특한 생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알게 되면, 자신에게 최적화된 수준의 신체 건강, 행복을 유지하며 살아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두 번째, 신체의 질병 및 정신적 질환은 환경적인 스트레스와 삶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위기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들을 강화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는 점. 스트레스는 사람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건강과 성장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지역사회 상담모형은 살면서 사용할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기회를 제공하는 데 주력한다.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예방 상담과 예방 교육에 적.. 더보기 자조그룹을 통한 역량강화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다 보면 자조 그룹이라는 단어가 익숙해질 것이다. 자조 그룹은 복지현장에서도 자주 듣게 되는 단어이다. 지역사회상담론에서의 자조 그룹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마주하는 자조 그룹과 어떤 차이가 있을지 아래를 통해 알아보자. 자조 그룹이란 자조 그룹 안에서 참여자들은 문제를 공유하고 서로 지지해 주며, 적극적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자조 그룹 안에서 구성원들은 도움을 주고받는 이를 정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함께 결정하여 도움을 주고받는다. 자조 그룹 안에서 구성원들은 사회공동체 구성원들과 같이 전통적 상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지지와 공감과는 다른 감정적인 지지와 이해를 받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료에게 격려받고 본인의 삶에 대한 책임감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자조 그.. 더보기 마인드셋에 대하여 마인드 셋의 역사 1900년대 초기에 시작된 마인드 셋에 대한 연구는, 인지 연구의 기반이었다. 인지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대부분의 연구에서 마인드 셋을 조금씩 파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인드 셋의 정의 마인드 셋은 다양한 이론을 통해 정의되고 있다. 인지심리학에서 일컫는 마인드 셋은 주어진 과업에 반응해 활성화되는 인지 과정(French, 2016), 결정이론과 일반체계이론에서 일컫는 마인드 셋은 한 명 이상의 사람이나 집단의 추정, 방법, 의견 등을 말한다. 마인드 셋은 집단 내에서 이전 행동, 선택, 도구를 지속해서 사용하거나 받아들이도록 하는 강력한 보상을 만든다. 이를 정신적 타성, 혹은 집단사고라고 한다. 이는 의사결정.. 더보기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