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반응형

현재 사회복지분야에서 몇 년째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가 바로 지역사회복지입니다.

한국의 사회복지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일방향적인 성격이 강한 정책들이 많았습니다. 

사회복지의 변천사 혹은 역사에 대해 아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사회복지 실천의 역사처럼

어렵고 힘든 이들을 구제한다는 형식의 사업이

점차 개인의 어려움을 살피거나,  개인에게 맞춘 형태의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의 환경체계뿐 아니라

개인의 세부적인 특성까지 함께 고려하여 접근하는 방식으로 사회복지 실천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이때 일방향적인 방법으로 정부, 공공기관, 복지관에서 무엇을 주는 형태의 사업에서 

점차 개인이 가진 다양한 자원을 발굴하고

그 자원을 함께 활용하여 정부, 공공기관, 복지관의 개입이 없이도

한 사람이 자신이 가진 자원을 활용하여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회복지 실천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을 보았을 때, 최근 몇 년간 사회복지분야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개인이 가진 자원을 활용할 때, 사회복지분야에서 가장 많이 집중하여 살피는 것이 바로 지역사회복지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는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전되어 왔을까요?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지서비스의 변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주체,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등 지역사회복지의 활동내용을 중심으로 구분 짓습니다. 

 

 

첫째,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1950년대~1970년대) -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의 사회복지사업은 해방 후 사회적인 혼란과 한국전쟁 이후 수용시설사업이 주류가 되어 형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이 반영되어, 대한민국의 지역사회복지사업은 외국의 민간 원조기관에 의한 사회복지사업이 주가 되어 이뤄졌는데, 이러한 형태가 1970년대 초반까지 이뤄졌습니다. 

 1. 외국의 민간 원조기관의 등장

외국의 민간 원조기관은 외국을 기반으로 하여 그곳의 자본을 통한 지원으로 국내의 재해구호 등 지역사회개발과 관련된 사회복지사업을 실시하는 비영리기관입니다. 이러한 기관들은 1952년 총 7개의 기관을 중심으로 구성된 KAVA(외국 민간원조한국연합회)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였습니다. 이 조직은 12년 뒤인 1964년 70여 개의 기관으로 확장되었으며 회원 간 협의 하에 보건, 사회복지, 구호, 교육, 지역사회개발 등의 분야에서 외국의 자본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역할을 도맡았습니다. 한국전쟁 시기인 1950~1960년대 대한민국으로 지원을 하기 위해 정착한 외국원조기관은 거의 96개에 달했으며 이 기관들은 전쟁 및 전쟁 이후 혼란해진 사회에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실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기관들은 특히 교육 및 보건, 지역사회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미국식 전문사회사업의 실천방법 및 이론들을 국내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970년대 들어서는 전쟁으로 인한 상황이 차츰 정리되면서 외원기관의 지원 비중이 줄어들다가 1974년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파악한 정부에서 이 시기부터 외원기관을 대신하여 복지분야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 대학부설 사회복지기관의 출현과 민간사회복지관의 설립

사회복지 역사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사회복지의 기원인 인보관 활동과 같이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를 근거로 실천하는 복지실천의 주체로서의 의의가 있습니다. 1956년 이화여자대학교 부설 복지관 설립을 필두로 대학이 이러한 인보관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56년 아현인보관, 1962년 목포사회복지관 등 이때 이후로 개인 및 민간단체에 의해 사회복지관 설립이 이뤄졌습니다. 

 

3.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실천활동의 시작

1957년 한미합동경제위원회, 1958년 지역사회개발위원회가 구성되어 지역사회 개발사업을 주된 정책 수단으로 채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계기로 지역사회 개발사업이 실시되는 기반이 구축되었습니다. 

1970년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우리가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새마을운동사업'으로 전환되어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흔히 새마을운동사업이라 하면 농촌생활환경개선사업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훗날 이러한 형태로 시작되었던 사업이 소득증대사업, 의식개선운동으로까지 확산되었습니다. 

이러한 새마을운동사업은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시스템화과 쉬우며, 자원이 안정적이라는 강점으로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 주도의 운동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복지의 자발성 원칙에서 벗어난 한계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관 주도의 운동과 민간 주도의 운동

관 주도의 운동 민간 주도의 운동
장점 단점 장점 단점
1. 시스템화가 쉽다
2. 체계적이다
3. 자원이 안정적이다
1. 융통성이 없다. 1. 특색 반영이 쉽다.
2. 유기적이다.
3. 탄력적이다.
1. 자원이 부족하다.
2. 단기 위주의 접근
3. 안착이 늦다.

* 본 내용은 오정수, 류진석 저, [지역사회복지론], 3판, 학지사, 2009 저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